시가 버스정류장 이용이 불편한 주민들에게 지원 기준이 모호한 보조금을 편성, 6년째 매달 300만원씩 지원해 특혜 시비가 일고 있다.
시는 지난 2004년 경부선 철도에 고속철도가 운행하면서 물금읍 남평마을 주민들이 이용하던 버스정류장으로 이어지던 건널목이 폐쇄되자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한다며 차량 운행보조금을 지원키로 결정했다. 주민들은 건널목 폐쇄 이후 마을에서 100여m 떨어진 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없게 되자 500여m 떨어진 증산마을 인근에 설치된 버스정류장까지 차량을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시는 주민들과 협약을 체결하고 매달 차량운행보조금을 지급키로 한 것이다. 주민들은 마을과 계약을 맺은 차량운행자에게 버스를 이용할 때마다 전화로 연락, 차량을 이용해 물금읍이나 증산마을에 있는 버스정류장까지 이동하고 있다.
협약체결 이후 시는 남평마을 주민들에게 2004년 월 250만원을 보조금으로 지급했고, 2005년부터는 월 300만원을 지급해왔다. 하지만 이같은 보조금이 주민들과의 협약을 통해 지급되었다고는 하지만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와 보조금 정산이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시의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불거졌다.
남평마을 외에도 버스정류장이 먼 지역이 한두 곳이 아닌 상황에서 남평마을에만 차량운행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남평마을에서 증산마을까지는 불과 500여m 떨어졌을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지적이 당초예산 심의에서도 나왔지만 해당 지역구 시의원의 반발로 제대로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시 관계자 역시 예산 편성에 무리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건널목 폐쇄로 불편을 겪고 있는 주민들을 위한 지원”이라며 “내년 말 개통 예정인 도시계획도로가 완공돼 버스노선 조정이 이루어지면 보조금 지원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