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신고된 인구수는 모두 25만4천204명. 2008년 12월 말 24만6천848명에 비해 7천356명 증가해 25만을 넘겼지만 올해 안으로 목표 인구인 30만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4만5천796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故 오근섭 시장이 재임 당시 2010년 인구 30만 도시를 목표로 시정을 운영해왔지만 ‘경기침체’라는 걸림돌과 부산ㆍ울산 등에서 오는 이동인구가 감소 추세로 접어들면서 목표 달성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것이다. 특히 올해에는 인구 증가를 이끌었던 아파트 단지의 입주 계획이 없는데다 지난해 의욕 넘치게 추진해온 각종 산단 유치ㆍ조성 사업이 뚜렷한 결실을 맺지 못해 대규모 인구 유입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 2007년 시는 오는 2010년까지 인구 30만을 달성하기 위해 2007년 1만명을 시작으로 2008년 1만5천명, 2009년 2만2천명, 2010년에 2만7천명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2007년 인구 증가는 2천383명에 그쳤고, 2008년에도 1만1천56명이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2009년에는 7천356명이 증가해 목표치를 크게 밑도는 수치를 보이고 있다.
2008년 신도시 2단계 입주 시작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개원 등의 호재로 인구 유입이 다소 증가했지만 여전히 경기침체로 인한 신도시 활성화 지연,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실패, 저조한 산막산단 분양 등의 악재가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자 시가 인구 30만을 목표로 추진해온 각종 시책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대규모 시가화예정지를 지정해 산단 개발을 서두르고 있는 개발 위주의 행정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뚜렷한 결과를 맺지 못한 채 구호만 내세우는 시의 인구 유입 정책도 원점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시는 2020년 인구 50만을 목표로 각종 기반시설을 추진해오고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인구 30만과 50만을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계획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규모 도시기반시설 확충이 효율성을 발휘하지 못한 채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또한 생활권이 분리된 웅상지역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인구합산으로 시 정책을 마련할 경우 중복투자의 우려도 제기돼 규모 중심의 개발 계획이 아닌 보다 세밀한 인구예측과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