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동 일대 구도심권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추진될 계획이다. 지난 19일 시에 따르면 올해 당초예산에 확보된 1억5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4월께 용역에 착수한다는 것.
시는 구도심 활성화 용역을 위한 과업지시서를 완료하고 업체 선정을 위한 준비 절차에 들어갔다. 시는 내달 중 용역 설계를 위한 업체를 선정하고 오는 12월 말까지 용역을 마무리, 내년부터 관련 예산과 조례를 마련해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용역은 신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시기반시설이 열악한 구도심권이 날이 갈수록 신도시지역과 격차가 벌어져 낙후되고 있다는 주민 여론에 따른 것이다. 특히 지난 2월 중앙동이 양주동과 분리되면서 구도심권인 중앙동 주민들의 박탈감이 더욱 커지고 있어 이를 해소할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여기에 이미 시외버스터미널이 이전한데다 오는 11월 경찰서마저 물금읍으로 이전한다는 계획이 진행되고 있어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대책은 더욱 절실해졌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신도시지역과 균형 있고 안정적인 도시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주민들의 지혜를 모을 계획이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구도심 활성화를 주도할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계획과 실천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는 관련 공무원과 전문가를 포함한 민간추진위원회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위원회에는 시장 상인, 소상공인, 지역 주민들이 위원으로 위촉돼 20여명 내외로 구성될 전망이다.
위원회는 구도심의 문제를 직접 진단하고 선진지 견학을 포함한 교육도 진행한다. 이러한 활동을 토대로 주민설문조사를 진행, 수혜자인 구도심권 주민들의 지혜를 모은다는 계획이다. 또한 옛 시외버스터미널 부지와 경찰서 부지에 대한 활용방안도 용역 내용에 포함시킬 예정이다.
시는 이러한 용역 결과를 토대로 필요할 경우 관련 예산을 지원하고 이를 뒷받침할 조례 등 법적 근거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구도심 활성화는 수혜자인 주민들의 입장에서 주민들이 스스로 이루어낼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계획 수립 과정에서부터 주민들이 참여할 수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용역은 현재 추진 중인 남부시장 아케이드 사업, 한전 지중화 사업, 공영주차장 조성 사업, 하수관거 BTL 사업, 도시광고물 정비 사업 등 구도심권 활성화를 위한 세부사업과 연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도시재생모델을 만들어 상권 활성화와 주민 편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