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농산물유통센터 우려 속 첫 삽
..
사회

농산물유통센터 우려 속 첫 삽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326호 입력 2010/04/13 09:35 수정 2010.04.13 09:35
오는 15일 기공식, 저가농산물 공급ㆍ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부지매입 281억ㆍ건축비 162억 투입…투자 대비 효과 우려




오는 15일 기공식을 가지고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하는 농산물유통센터 조감도.
인근 지역은 물론 전국 대부분 농산물유통센터가 운영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양산지역에 새로운 농산물유통센터가 건립되는 것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높다. 이미 다른 지역에서 실패한 사업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시가 계획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루어낼 지, 다른 지역의 전철을 밟게 될 지 농산물유통센터 건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농산물유통센터가 오는 15일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하면서 막대한 사업비를 투자하는 농산물유통센터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오는 2011년 9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는 농산물유통센터는 동면 금산리 수질정화공원 인근 3만8천여㎡ 부지에 직판장, 직배송장, 보관시설, 편의시설 등 연면적 1만2천여㎡, 지상 1층 지하 2층 규모로 400여대가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을 포함한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시는 농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경쟁력을 제고하고 유통체계 개선과 시민 삶의 질 향상,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이유로 2004년부터 농산물유통센터 건립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사업 추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만은 아니다. 사업 계획이 수립되자 시의회는 심의과정에서 농산물유통센터 건립의 효용성에 대해 끊임없는 의문을 제기했다. 무엇보다 ‘투자 대비 효용성이 낮다’는 우려가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대부분 지자체서 운영적자


시의회를 비롯한 농산물유통센터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시민들은 이미 부산, 울산, 경남 등 인근 지역에 운영되고 있는 농산물유통센터와 도매시장 등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산에서 농산물유통센터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실제 양산과 가까운 부산(반여ㆍ엄궁), 경남(김해), 울산(삼산)에 모두 4곳의 농산물도매시장과 유통센터가 운영되고 있지만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곳은 한 곳도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비판을 의식한 듯 시는 당초 동면 금산리 내 시장용지로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부지 9만9천여㎡를 매입하려다 2007년 3만8천여㎡로 부지매입계획을 축소하기도 했다. 

시는 운영적자를 우려하는 목소리에 대해 농산물유통센터가 건립돼 본격 운영에 들어가면 시민들에게 저가의 신선한 농산물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게 돼 시민의 삶의 질이 나아지고, 농산물 유통구조 혁신을 통한 농업인 소득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효과적인 농산물유통센터 운영을 위해 지난해 9월 대구 달성군과 울산 농수산물유통센터 등을 찾아 성공 사례를 분석하는 한편 농산물유통센터 운영을 통한 기대효과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의 신중한 접근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유통센터 운영을 농협에 위탁한다는 계획만 가지고 있을 뿐 예상되는 운영적자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여서 대규모 사업추진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달라진 유통환경도 변수


양산 인근에서 운영되고 있는 농산물유통센터와 도매시장 가운데 해당 지역 농산물을 가지고 운영되는 곳은 한 곳도 없다. 모두 전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취급해야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양산의 경우 가장 넓은 농경지 가운데 하나였던 물금ㆍ원동지역 낙동강 주변 농경지가 4대강 정비사업으로 대부분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어 지역 농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는 시의 주장이 설득력을 잃고 있다.

또한 달라진 식습관과 가족문화로 이전보다 소량의 농산물이 유통되고 있다는 점도 유통센터 운영을 어둡게 하는 변수다.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형 농산물유통센터가 운영적자를 피해 해마다 달라지는 유통환경에 따라 적절한 유지관리비용까지 투자하며 대응할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다. 대형마트의 저가 공세에 맞서 저가 정책을 고수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ㆍ시설경쟁력 등에서 대형마트의 물량에 맞서기가 만만치 않은 이유에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