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낙동강 못 넘어선 낙동강유역환경청 유치..
사회

낙동강 못 넘어선 낙동강유역환경청 유치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329호 입력 2010/05/04 09:34 수정 2010.05.04 09:33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와 양산시가 추진해온 낙동강유역환경청양산 유치가 물거품이 됐다.<본지 327호, 2010년 4월 20일자>

지난달 26일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청사신축추진위원회를 개최, 창원시에 위치한 현 청사 주차장 부지에 신청사를 건립키로 결정한 것. 낙동강유역환경청은 1989년에 건립돼 노화된 청사를 신축 또는 이전하기 위해 지난 2월 청사 신축 계획을 마련했다. 이 과정에서 창원시와 양산시, LH 간의 유치 경쟁이 펼쳐지면서 두 지자체는 물론 지역언론까지 유치전에 가세해 과열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양산시는 당초 LH측의 제안을 시작으로 낙동강환경청의 양산 이전 위해 양산 신도시 2단계 물금지역 내 3만5천여㎡ 규모의 업무시설용지를 신청사 부지로 계획했다.LH 경남지역본부 역시 낙동강유역환경청의 현 청사 부지와 부산지청 부지 등에 대해 등가교환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등가교환 과정에서 부지 가격이 맞지 않으면서 LH가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양산시와 LH의 지원 계획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창원에 잔류키로 결정을 내린 것.

최초 LH의 구상으로 시작했지만 양산시의 행정지원에도 불구하고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양산시의 입장이다. 양산시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이달 중으로 청사 문제를 해결짓겠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LH측이 다음달 20일께나 부지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신축을 서둘러 진행하려는 낙동강유역환경청의 입장과 맞물려 현 부지 신축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LH측은 “낙동강환경청에 제공할 양산 신도시의 부지는 등가교환방식으로 인해 본사와의 협의가 필요하고 40일 정도가 소요돼 다음달 20일께나 최종 여부를 알 수 있다”며 “특히 본사와의 협의를 위해 공문이 필요했고 수차례 공문요청을 했지만 보내주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결국 공공기관 유치를 둘러싼 책임 공방으로 변해가는 양상을 보이면서 양산시와 LH 모두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