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때도 없는 여론조사 전화에 화부터 난다”
최근 선거에서 중요한 변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여론조사에 대해 정작 시민들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하다.
후보자나 언론, 각 정당에서 연이어 실시하는 여론조사는 가히 ‘홍수’라고 부를만 하다. 이러한 현상이 심각해지자 무분별한 여론조사를 막기 위해 사전신고제를 도입하는 등 선거법을 개정했지만 시민들이 느끼는 불편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지난 2월 2일부터 지방선거 출마자들은 예비후보등록을 한 이후 제한적인 선거운동이 가능해졌다. 양산시선관위에 따르면 예비후보등록 이후 후보등록일까지 지역 내 출마자들이 신고한 여론조사 실시 건수는 모두 50회였다. 이 가운데 조문관 시장예비후보가 7회를 신고해 가장 많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한나라당 시장공천과정이 치열했던 만큼 한나라당 시장공천자들의 신고 건수가 지역 내 신고건수에서 가장 많았고, 시ㆍ도의원 예비후보들도 여론조사를 실시한 기록이 집계됐다. 여기에 양산선관위에 신고하지 않는 경남도지사, 교육감 등 후보들이 실시한 여론조사와 신고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언론사들의 여론조사까지 포함하면 실제 시민들이 접하는 여론조사는 그 수를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정확한 선거판도를 알고 싶어 하는 후보자들과 정당, 언론의 이해관계가 맞물린 데다 최근 저가의 여론조사기관이 난립하고 있어 선거 때마다 ‘사회적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또한 정작 여론조사 결과를 의심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드는 부작용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