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소토초 통학로 ‘안전사각지대’..
사회

소토초 통학로 ‘안전사각지대’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336호 입력 2010/06/22 09:16 수정 2010.06.22 09:15
산단 진입도로 개설 지연으로 사실상 방치 장기화

학부모 학교 이전 추진 비롯해 안전대책 수립 촉구



“아이들이 위험에 노출돼 등ㆍ하교하는 모습이 안타까울 뿐이다”

최근 어린이 성폭행 사건으로 아이들의 안전 문제가 사회적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지만 오랫동안 문제가 제기되어온 소토초등학교 통학로 안전 대책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국도35호선에서 경부고속도로위를 지나는 소토초 통학로는 수년째 계획된 도로가 개설되지 않은 채 아이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오히려 상황은 더욱 악화되는 모습이다. 이곳은 도시계획도로 개설이 계획되면서 통학로 주변 건물의 보상이 추진되어 왔지만 산막산업단지 조성으로 산단 진입로로 계획이 변경되면서 보상 업무가 지연되어 왔다. 찔금 보상이 이루어지면서 빈 집과 거주지가 뒤섞인 채 수년째 방치되어 왔다.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자 시는 우선 보상 업무를 추진했지만 여전히 빈 집은 그대로 남아 있다. 통학로 주변 수십채의 가구가 빈 집으로 남아 안전사각지대로 아이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3월 주민들과 학부모들의 문제제기로 소토초 통학로는 뒤늦게 스쿨존으로 지정됐지만 아이들의 안전을 위한 시설물 설치는 여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미 도로 개설이 계획되어 있는 곳에 안전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는 제대로 된 통학로를 만들기 위해 우선 실시되어야 하는 산단 진입로 개설 역시 상당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시는 산단 진입로 개설을 위해 172억원의 국비를 신청했지만 올해에도 예산이 반영되지 않았다. 산막산단이 오는 2012년 말까지 준공 예정이어서 진입로 개설 역시 그 이후에나 가능하다는 것이 시의 해명이다. 산단이 활성화되기까지 진입로가 급하지 않다는 것이 중앙정부와 시의 생각이다.

일부 학부모들이 주장하고 있는 학교 이전 문제 역시 교육청과 시의 협의 과정을 거쳐 현실화된다고 하더라도 최소 2~3년 이상 걸리는 행정절차와 건축 기간을 고려할 때 당장 급한 아이들의 안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소토초 학생 상당수는 학원 차량을 이용해 통학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학 방법은 ‘땜질식 처방’에 그칠 뿐 아이들의 안전을 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소토초 김성범 학부모회장은 “철거되지 않은 빈 집이 우범지대로 전락하고 변변한 보호시설 하나 갖추지 못해 부모들의 마음은 매일 불안하다”며 “행정당국은 큰 사고가 터져야만 아이들의 안전에 관심을 가지는 척 하지만 당장 필요한 통학로 안전 문제에는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