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시장이 강력히 추진해오던 대형개발사업 일부가 새로운 시정 운영 방침에 따라 재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 1일 민선 5기 제6대 나동연 시장이 취임하면서 전임자인 故 오근섭 전 시장의 역점사업 가운데 일부가 타당성을 결여했거나 과잉투자라는 지적에 대해 재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미 나 시장은 당선자 신분으로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오 전 시장의 역점사업 가운데 타당성 조사가 필요한 사업에 대해서는 예산 문제 등을 면밀히 검토할 것을 지시하기도 했다.
우선 과잉투자로 지적을 받았던 삼산문화회관은 타당성 조사까지 마친 상태이지만 사업 추진이 불투명하게 됐다. 오 전 시장이 3천석 규모의 공연장을 건립하겠다며 수질정화공원 인근에 부지까지 확정한 상태이지만 정확한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사업 추진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서울예술의전당 2천300석, 부산시민회관 1천800석, 김해문화의전당 1천400석인 것을 감안할 때 3천석 공연장은 양산시의 재정규모에 버거운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건축물의 규모만 정해졌을 뿐 3천석 공연장을 운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무하다는 점도 사업 타당성에 고개를 젓게 하는 대목이다.
역사적 복원문제와 과잉투자로 논란을 일으켰던 쌍벽루 복원 사업도 재검토 대상이다.
쌍벽루 복원은 교동 일대에 춘추공원과 함께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48억원을 들여 누각을 복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영남 5루로 이름을 알렸던 쌍벽루를 복원해 옛 전통이 현대인의 숨결 속에서 살아 숨쉴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였다. 쌍벽루 복원사업은 이미 학술용역을 마친 상태이지만 무리한 사업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대규모 부지매입과 관련한 사업 역시 재검토 대상에 포함됐다. 저탄소녹생성장단지 조성(336억원)과 교동토취장 부지 매입(180억원) 등 부지 매입 목적이 뚜렷하지 않아 이미 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승인을 받지 못한 사업들 역시 오 전 시장의 역점추진사업이었지만 재검토 지시로 추진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나 시장이 시의원으로 활동하던 지난해 12월 시의회는 이들 사업에 대해 목적과 계획 모두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계획을 삭제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재검토 지시는 관련 사업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지난해 2020 도시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논란이 됐던 시가화예정용지(공업용지) 결정은 산업단지 수요에 맞게 재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시는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시가화예정용지로 9개 지구에 1천466만㎡ 규모의 공업용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가운데 상북면 일대 ‘대석지구’와 ‘좌삼지구’가 지역주민들의 논란을 일으켰다. 시는 이미 개발행위제한구역으로 고시하고, 사업 추진을 기정사실화했지만 공업용지 공급 과잉과 주민 생존권 위협 등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나 시장은 시가화예정용지에 대해 첨단산업 유치와 공업용지 수요에 따른 합리적 재조정을 이미 공식화한 상태다.
한편 나 시장은 “기존 사업에 대한 타당성 검토와 예산 상황 등을 고려해 신규 사업 추진보다 진행된 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에 더욱 중점을 둘 방침”이라고 말해 논란이 되어온 대형개발사업 일부가 원점에서 재검토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