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어곡산단개발, 주민 불신 ‘모락모락’
..
사회

어곡산단개발, 주민 불신 ‘모락모락’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341호 입력 2010/07/27 09:13 수정 2010.07.27 09:13
어곡2일반산단 조성 추진, 석산개발 의도 의혹

경남외고ㆍ화룡마을, 학습권ㆍ생존권 침해 반발



↑↑ 어곡2일반산업단지 조성 예정지. 지난 1994년부터 골재 채취가 이루어지던 석산을 산업단지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이 공식화되자 경남외고 학부모들과 인근 화룡마을 주민들은 발파로 인한 소음ㆍ분진 등으로 학생들의 학습권은 물론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 양산시민신문
­

어곡동 일대에 새롭게 추진되는 민간 산업단지 개발사업이 석산개발을 위한 눈가림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23일 양산시와 어곡2일반산업단지 조성 시행사인 ㄷ업체는 주민설명회를 개최, 어곡동 산201번지 일대 33만7천920㎡를 민간투자방식으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시행사에 따르면 조성된 산업단지에 1차금속 제조업ㆍ금속가공제품 제조업ㆍ전기장비 제조업ㆍ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ㆍ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등을 유치하고, 시행사가 직접 전체 산단 면적의 30% 부지에 자동차부품 제조업을 운영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남외고 학부모들과 화룡마을 주민들은 산단 개발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진행되는 석산의 발파로 학생들의 학습권과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산단 조성 예정지는 지난 1994년 토석채취허가를 받아 골재 채취를 위한 석산개발이 진행되던 곳이었다. 하지만 사업자의 부도로 인해 장기간 사업이 방치되다 2001년 허가기간이 끝나 복구명령을 받게 됐다. 이후에도 사업자 부도와 경매 절차를 거친 끝에 현재 산단을 추진하고 있는 ㄷ업체가 사업권을 인수받은 상태다.

주민들은 당초 골재 채취가 이루어지던 곳에 갑작스러운 산단 개발 계획이 수립되자 복구명령 이후에도 지지부진하던 복구 대신 새롭게 석산 개발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산단 개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채석허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행사측 역시 산단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석재를 LH측에 신도시 개발과 관련,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LH측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은 복구명령 이후에도 현장에 장비를 설치해 계속 골재를 불법 반출하고 있다는 주민들의 의혹이 끊이질 않았다. 또한 토석채취 과정에서 발파로 인한 소음과 분진, 대형운송차량들의 난폭 운전 등으로 주민들과 마찰을 빚어오기도 했다.

이러한 마찰은 시행사측과 주민들 간의 불신으로 쌓여 산단 개발 계획을 곱지 않은 시선을 바라보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설명회에 참석한 한 주민은 “산단 개발은 허울 좋은 명분에 불과하고 다 파내지 못한 석산을 개발하기 위한 눈가림일 뿐”이라며 “양산시가 공영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는 산단도 분양율이 저조한 불경기에 민간이 산단을 개발해 수익을 낳겠다는 발상이 의심스럽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시행사측은 “레미콘 제조를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했지만 건설경기의 불황으로 사업 전망이 불투명해 자동차부품제조업으로 새로운 창업을 하기 위해 산단 개발을 추진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경남외고 학부모들은 이번 설명회가 사업 추진을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며 설명회 도중 자리를 떠나며 앞으로 학생들의 학습권 보호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사업을 저지할 것이라는 뜻을 밝히기도 해 시행사의 사업 추진 과정에 난항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