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외곽순환도로를 건설하면서 양산지역에 나들목 설치 계획을 포함시키지 않은 도공의 일방통행식 사업 추진이 구설수를 낳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을 사전에 알고도 대책 마련을 소홀히 한 양산시의 대처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사진은 지난 11일 시의회가 마련한 사업 설명회에서 도공 관계자가 나들목 설치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지역에서 실시되거나 실시될 예정인 국책사업에 대해 양산시의 소극적인 대처가 구설수에 올랐다.
지난 11일 양산시의회는 도로공사가 추진 중인 부산외곽순환도로에 양산나들목을 설치하기 위해 도공측과 설명회를 가졌지만 도공측이 동면 호포리 인근에 나들목 설치가 불가하다는 입장만을 통보받는데 그쳤다. 도공이 추진 중인 부산외곽순환도로는 부산시 기장군 일광면에서 김해시 진영읍 우동리까지 이어지는 48.8㎞ 고속도로이다. 이 구간에는 4곳의 분기점과 나들목 4곳, 휴게소 2곳이 설치될 예정으로 양산구간은 터널 형태로 금정산을 관통해 호포지역 인근을 지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시의회는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도로 개설인 만큼 양산지역에도 국도35호선과 연결되는 나들목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지만 도공측은 시의회와 양산시가 주장하는 호포 인근 지역에 경부선 철도, 삼락나들목~양산 고가차도, 부산도시철도 1호선 등이 위치해 현실적으로 나들목 설치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날 설명회에서 김종대 의장은 “지역 주민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도로 개설을 추진하면서 정작 특정지역에만 편중된 출입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은 일”이라며 “도공이 계획대로 양산지역에 나들목 설치를 검토하지 않을 경우 시민들의 저항에 부딪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공 관계자는 “양산의 경우 기존 고속도로와 외곽순환도로가 연결되는 분기점을 이용할 수 있는 남양산나들목과 물금나들목이 있어 큰 불편이 없을 것”이라고 답변해 설계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논란은 기존 국책사업 추진 과정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양산시의 대응이 미흡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번 부산외곽순환도로 개설 사업 역시 2006년부터 타당성 조사를 실시해 이미 설계가 마무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산시는 타당성 조사 과정에서 나들목 설치를 요구했지만 시의회나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이 같은 사실을 알리고 민관이 공동으로 대응하지 못한 것이다.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호포마을 정재철 이장은 “수년간 사업을 추진해오면서 정작 해당지역 주민들에게는 며칠 전에야 사업을 통보하듯이 주민설명회를 했다”며 “지역 주민들의 이익이 걸린 중요한 사안을 일방적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고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러한 양산시의 뒤늦은 대응은 국지도60호선 2단계 구간 북부천 고가도로 개설과 울산~함양 고속도로, 765kV 북경남 송전선로 건설 사업 등 주요 국책사업마다 반복되고 있어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들 개발사업계획을 뒤늦게 알게 된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자 양산시가 한 발 늦게 보조를 맞추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
물론 정부나 상급기관의 국책사업에 대해 양산시가 반대 입장을 쉽게 표명하지 못한다는 점을 이해가 가지만 주민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개발사업으로 이끌어내는 사전 작업과 대응책 마련이 아쉽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