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스마트 시대, 겉 도는 지자체..
사회

스마트 시대, 겉 도는 지자체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349호 입력 2010/10/05 09:15 수정 2010.10.05 09:15
공공기관 와이파이 설치, 보안문제로 ‘갈팡질팡’

지자체별로 다른 대응, 걸음마도 못 뗀 양산시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지자체의 대응은 방향조차 잡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특히 정부는 ‘스마트 코리아’를 내세우며 새로운 정보화시대에 적극 대처한다는 방침을 발표했지만 일선 지자체들은 뚜렷한 개념조차 세우지 못한 채 무선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와이파이 설치 방침조차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양산의 경우에도 현재 공공기관에서 개방형 와이파이를 설치한 곳은 전무하다. 시청과 읍ㆍ면사무실, 동주민센터 민원실 어느 곳에도 개방형 와이파이가 설치되지 않았고, 종합운동장을 비롯한 도서관, 워터파크 등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에도 시가 설치한 와이파이망은 찾아볼 수 없다.

인근 부산의 경우 부산도시철도공사와 이동통신업체가 제휴를 맺어 지하철 전 역사에 와이파이망을 구축하고, 각 해수욕장, 사직종합운동장 일대 등에 개방형 와이파이망을 구축해 놓고 있으며 이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양산이 ‘스마트 시대’를 맞아 더딘 걸음을 걷고 있는 것은 외부적ㆍ내부적인 원인이 있다.

우선 정부가 스마트 코리아를 내세우며 차세대 성장동력을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정작 보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일선 지자체에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행정안전부와 지식경제부, 국가정보원, 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관련기관이 보안문제에 대한 방침을 마련해 11월께 발표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현재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와이파이망이 결국 특정업체의 이익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지자체의 운신을 좁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 외에도 지자체의 인식 부족은 더 큰 장애로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수도권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달리 양산시는 스마트 시대에 대한 개념조차 희박한 상태. 새로운 정책의 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자체장과 고위 공무원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가운데 이들의 낮은 인식이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와이파이가 새로 나온 초코파이냐?”라는 우스개 소리가 나올 정도로 양산시 정책결정권을 가진 고위 공무원들의 스마트 시대에 대한 이해도는 떨어진다는 것이다. 과거 컴퓨터의 보급으로 전자정부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긴 혼란이 ‘스마트 시대’를 맞이한 오늘, 더 큰 시행착오를 각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배경이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