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정비사업 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 처리 여부를 놓고 정부와 경남도 간의 논란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양산지역 낙동강정비사업대상지에서 나온 준설토를 신도시지역 매립토로 활용하는 과정에서도 양산시가 주도적으로 관리ㆍ감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달 26일 양산시의회 건설산업위원회 서진부 위원장(무소속, 서창ㆍ소주)과 정석자 의원(민주, 비례대표)은 물금지역 낙동강정비사업지와 신도시 매립지역 등을 현장점검하고 준설토와 매립토에서 일정량의 폐기물이 혼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두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준설과정에서 상당량의 폐기물이 걸러지고 있지만 충분한 안전성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매립토로 활용되는 과정에서도 적절한 관리ㆍ감독이 이루어지지 않다고 지적하며, 신도시 조성이 양산시의 당면 현안과제인 만큼 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토관리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낙동강정비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준설토를 신도시 조성에 필요한 매립토로 활용키로 하고 준설토를 신도시 3단계지역에 매립 중이다.
하지만 서 위원장은 국토관리청과 토지주택공사 양측의 감리단이 반출과 매립 과정에서 폐기물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작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시가 공동으로 준설토의 반출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업무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서 위원장은 “준설지역에서도 곳곳에 폐기물이 뒤섞여 있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고, 매립지역 역시 PVC파이프관, 전선, 비닐 등 각종 폐기물이 준설토와 함께 반입되고 있는 현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며 “불필요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두 기관과 양산시가 철저한 검증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 위원장은 현장점검 후 신도시와 환경담당부서에 이같은 사실을 통보하고 대책 마련을 주문한 상태다.
한편 현재 매립공사를 진행 중인 토지주택공사는 준설토에 폐기물이 혼재되어 매립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준설토에 일부 생활쓰레기가 뒤섞여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폐기물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또한 반입되고 있는 준설토에 대한 성분검사 등을 통해 시의회가 우려하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에 대해 이미 대비책을 세웠고,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는 쓰레기에 대해서도 매립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는 별도의 인력을 운영 중이라고 해명했다.
토지주택공사 관계자는 “낙동강 준설토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신도시지역으로 반출되는 매립토에 대해서도 철저한 검증을 거치고 있다”며 “시의회의 우려에 따라 양산시와 주기적으로 현장에 대한 지도ㆍ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양산시민신문 |
![]() |
↑↑ 사진 위는 물금지역 준설장을 둘러보는 서진부 시의회 산업건설위원장. 사진 아래는 증산역 앞 신도시 3단계지역에 준설토가 매립되고 있는 현장.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