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화청사 건립으로 비난을 받은 바 있는 성남시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국토해양부에 지불해야 할 채무에 대해 지불유예(모라토리움)를 선언하면서 지자체의 재정상황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경남발전연구원은 ‘경남의 지방재정실태와 정책과제’라는 분석보고서를 발간하고 경남지역 지자체의 재정상황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양산은 부채규모가 전체 예산 대비 1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재정상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양산은 예산 대비 부채비율이 18%로 27%인 김해에 이어 도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양산은 2009년 12월 기준으로 전체 예산 6천380억원 대비 1천150억원의 지방채 잔액을 가지고 있다는 것. 통합창원시 출범 이전 진해시가 25.3%의 부채비율을 기록했지만 창원ㆍ마산ㆍ진해시가 통합 이후 9.6%로 부채비율이 낮아지면서 양산이 2위로 올라서게 된 것이다.
주민 1인당 부채액 역시 2009년 12월 현재 45만9천361원으로 집계됐다. 주민 1인당 부채액은 전년도 28만7천438원에서 64.7% 상승했다. 1인당 부채액은 시 단위에서는 김해가 55만1천429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양산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군 단위에서는 의령과 남해가 50만원 이상의 부채액을 기록하며 양산보다 높은 수치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