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양산시를 출입하는 기자들의 자질을 문제 삼으며 취재 협조와 각종 고시ㆍ공고 지원 등에 대한 제한 방침을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 27일 시는 ‘시청 취재 언론사 출입 및 관련 운영기준’을 공개하고, 최근 지역 내 난립하는 지역일간지에 대한 기자실 운영 방향을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표성이 떨어지는 언론사의 난립으로 인해 시청을 출입하는 기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기자들이 기자로서 품위를 떨어뜨리는 취재 활동으로 정상적인 언론 활동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시는 최근 ABC협회가 공개한 언론사 신문발행 부수를 기준으로 1만부 미만 발행 신문사와 ABC협회 미가입 신문사에 대해 시청 출입을 통제키로 했다. 또한 이들 신문사에 대해서는 고시ㆍ공고 등 시정홍보 계약을 제한한다는 방침도 덧붙였다. 이러한 기준과 관계없이 출입 기자가 청렴 실천 행위를 위반할 경우에는 즉각 출입과 고시ㆍ공고 지원을 제한키로 했다.
이같은 방침은 최근 공무원노조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시청 출입 기자들의 자질론이 불거지면서 공론화되기도 했다. 자유게시판에는 무리한 광고 요구, 사실 확인조차 거치지 않은 기사 작성, 취재와 상관 없는 강압적인 자료 요구 등에 대해 성토의 글이 올라오고 있다.
시는 출입 기자 운영 방침과 관련, “시정 발전과 시민 복지 실현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건전한 시정홍보와 비판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시의 방침이 발표되자 전국 지자체의 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시는 방침 공개 이후 경남도는 물론 광역단체와 기초단체 공보실 담당자들의 문의가 이어지면서 자료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현상은 지자체마다 난립한 언론사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면서 오히려 정상적인 언론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공감대가 만들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따라서 시의 언론 방침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