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태 이후 상북지역은 가축매몰지에서 나올 수 있는 침출수로 인해 마을 대부분이 이용하고 있는 간이상수원이 오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비단 상북지역의 간이상수원이 문제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상북지역은 지하수와 양산천, 인근 계곡수 등을 활용한 간이상수도를 거의 모든 마을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가축매몰지 외에도 이미 양계농가 밀집지역인 상북은 AI 발생 시에도 매몰지에서 침출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정부와 시는 대단위 축산농가가 밀집해 있는 상북면 상삼리, 좌삼리, 내석리, 신전리, 외석리, 소석리 일대에 사업비 20억원을 들여 상수도 급수 시설을 설치했지만 사업 완료 이후에도 상수도를 사용하는 주민들은 소수에 그치고 있다.
실제 양산지역 전체 평균 상수도 보급율은 88.8%이지만 상북지역은 55.9%에 그쳐 상수도 시설이 없는 원동면과 농촌지역인 하북면(46.8%)에 이어 가장 낮은 보급율을 기록하고 있다. 개발제한구역이 상당수 포함된 동면(73.7%)에도 미치지 못한 수치다.
가장 큰 원인은 시가 설치하는 급수시설에서 각 세대로 연결하는 급수관에 소요되는 비용을 주민들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대당 100여만원이 필요한 자부담금이 안전한 상수도를 이용하는데 걸림돌로 남아 있다.
따라서 상수도 이용을 기피하고 있는 주민들의 의식 전환과 함께 시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미 2곳의 골프장 개발 계획으로 양산천과 지하수 오염이 우려된다며 상북지역 주민들은 ‘물 난리’를 겪은 바 있다. 당시 일부 마을에서는 상수도 보급을 이유로 골프장 사업체로부터 마을발전기금 형태의 지원금을 받은 곳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상수도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곳도 있다. 또한 상북지역에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 계획이 예정된 것 역시 상북지역에 상수도 보급이 확대되어야 하는 배경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금까지 청정지역으로 맑은 물을 이용할 수 있었던 상북지역이 개발지역으로 변모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부담을 이유로 상수도 설치를 머뭇거리고 있는 주민들은 시가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현행 법령상 시가 직접 주민들에게 지원할 수 있는 뾰족한 방안은 없는 상황.
시는 최근 구제역과 관련 상수원 오염 문제가 거론되자 재난관리차원에서 공동급수시설을 확장해 주민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과 상수도 시설 분담금 분납, 부대시설 지원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