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술적으로 양산나들목 설치가 어렵다며 주민들의 요구를 외면해온 도로공사에 시가 대안노선을 제시하고, 지역정치권이 설계 변경이 바람직하다는 목소리를 함께 내면서 국토해양부와 도로공사의 최종 결론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노선안. |
ⓒ 양산시민신문 |
“부산 외곽 도시를 연결하는 순환도로를 개설하면서 정작 양산을 제외한 것은 도로 개설 취지와도 맞지 않는 명분 없는 사업이다”
지난달 22일 한국도로공사 양산지사에서 열린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주민설명회’는 양산 시민을 무시한 도로공사의 일방적인 국책사업 추진에 대해 시민들의 불만이 쏟아진 자리였다. 지난 2006년부터 추진되어온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부산시 기장군 일광면에서 시작해 김해시 진영읍 방면으로 개설되는 48.79㎞ 구간의 도로다. 하지만 최근 설계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순환고속도로에 정작 양산 방면에서 진출입할 수 있는 나들목이 계획되지 않아 시민들의 반발에 부딪쳤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도로공사가 국책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은 채 사업을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양산나들목 개설을 위한 설계 변경을 요구했다.
시의회 역시 이러한 주민들의 입장에 공감하고 지난해 8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양산나들목 설치를 건의하는 건의문을 채택해 국토해양부와 도로공사에 전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로공사는 양산 구간에서 나들목을 설치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렵다며 난색을 표시해 왔다. 이러한 가운데 시는 도로공사가 마련한 기본계획노선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면서 도로공사를 압박하고 나선 것.
시는 주민설명회에서 그동안 도로공사가 나들목 개설이 어렵다고 언급한 대목을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현재 범어사와 장군 습지로 인해 변경되는 도로공사안에 시가 검토한 대안노선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해 참석한 주민들의 박수를 받기도 했다.
한편 이러한 주장에 지역 정치권 역시 힘을 실었다.
김종대 시의회 의장은 “한국 도로 공사 능력을 이미 세계 최고의 수준”이라며 “기술적인 이유로 공사가 불가능하다는 도로공사의 입장은 양산나들목 개설을 외면하는 의지 부족”이라고 질타했다.
또한 박희태 국회의장실 이봉건 정무수석비서관 역시 “2조6천억원을 들여 실시하는 국책사업이 명분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국회 차원에서 사업 추진을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국토해양부와 도로공사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토해양부와 도로공사 관계자는 시가 제시한 대안 노선에 대해 긍정적으로 협의하겠다며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여 주민들이 요구해온 양산나들목 설치가 이루어질 지 그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