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준공검사를 마친 중앙ㆍ삼성동 하수관거정비 임대형 민자사업(BTL) 가운데 일부 지역이 사업에서 누락된 것으로 밝혀져 해당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시는 지난 2008년 4월부터 중앙동, 삼성동 일대 82.6㎞ 구간에 걸쳐 오수와 우수(빗물)을 분리하는 분류식 관거를 개설하기 위해 민자사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준공 이후 삼성동 신기2마을 20여 세대가 설계를 해놓고도 사업이 진행되지 않아 이 지역 주민들은 여전히 사업의 혜택을 입지 못하고 별도로 정화조 청소와 분뇨 처리 등 불편을 겪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진 것은 시가 사업을 추진하면서 하수관 매설에 필요한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하수관이 매설되는 부지가 도로이지만 이 지역의 경우 별도의 도로나 여유공간이 없이 집들이 빽빽하게 모여 있어 하수관을 매설할 공간을 찾지 못했다는 것.
시 관계자는 “일부 사유지를 이용하려면 소유주의 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동의를 구하지 못해 부득이하게 사업 대상에 제외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신리2마을 박도환 이장은 “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공공부지가 있지만 이를 점유하고 있는 일부 상가에 대해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사업을 할 수 없다는 입장만 내놓고 있는 시를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