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가 부산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을 개통하기 전 변위(레일괘도 줄틀림) 현상을 발견하고도 개통을 강행했다는 주장이 부산시의회를 통해 제기됐지만 정작 양산시민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양산시는 언론보도 후에야 관련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져 부산교통공사의 업무 처리가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지난 11일 부산시의회 박인대 의원(기장1)는 시정질문을 통해 2007년 8월 부산교통공사가 양산선 호포~북정 구간 교각 가운데 2곳에서 심각한 변위 현상을 발견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다음 해인 2008년 1월 양산선을 개통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가 철도 차량의 길 역할을 하는 레일이 옆으로 틀어진 만큼 탈선의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위에 대한 계측기만 설치한 채 개통을 강행했다는 것. 부산교통공사는 변위 발견 이후 계측기 설치를 통해 변위 정도를 측정하던 가운데 개통한 지 1년 8개월이 지난 2009년 전문기관에 변위에 따른 관리 및 원상복구방법 용역을 실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박 의원은 이러한 부산교통공사의 대책이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할 공기업으로 책무를 저버린 행동이라며 현재 양산선 상태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변위 현상 발견 이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계측기를 설치했고, 현재 보강공사를 통해 더 이상 변위가 진행되지 않아 안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부산시의회에서 벌어진 이러한 공방을 둘러싸고 이를 바라보는 양산 시민들은 어리둥절한 반응이다.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임에도 정작 양산시는 지난 2008년 1월 양산선 개통 협의 과정에서 이같은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양산시는 언론보도 후에야 부산시에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안전성에 대해 구체적인 답변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개통 과정에서 이용분담금 문제를 놓고 양산시와 부산시가 수차례 협의를 진행했지만 안전에 대한 문제는 협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것이다.
양산 시민 무시한 일방통행
이러한 현상은 현재 양산선 운영이 철도법에 따라 부산교통공사에서 책임지고 있지만 양산선이 통과하는 행정관할기관인 양산시의 발언권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제도적 한계에서 비롯된다.
양산선은 신도시 조성 사업에 따라 사업비 전액을 한국토지공사(현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부담하고, 부산교통공사가 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양산시는 양산선 운영에 따른 이용분담금도 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의 입장에선 양산선 운영과 관련한 사항을 일일히 양산시와 논의할 필요가 없다는 태도를 보여 왔다. 이러한 태도는 개통 이후 남양산역과 양산역에 설치된 시민휴식공간과 주차장 공간에 점포 임대사업을 추진하려다 양산시민의 거센 반발에 부딪쳐 중단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양산역의 경우 시민휴식공간을 주점으로 임대하려다 양산시민들의 반발에 부딪쳐 사업이 중단된 후 소송에 휘말려 여전히 흉물스러운 구조물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 관계자는 “안전 문제는 운영주체인 공사에서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 조치를 취했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운영 과정에서 오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기관과의 소통을 통해 해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 최근 부산시의회가 부산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 호포~증산 구간 변위 현상에 대해 지적하면서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정작 양산시는 언론보도를 통해 뒤늦게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져 시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지자체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양산시민신문 |
![]() |
↑↑ 부산철도공사가 개통 당시 시민휴식공간으로 제공하겠다던 역사 일부 공간을 점포 임대사업을 추진하려다 시민 반발에 부딪쳤다. 사진은 시민 반발 후 소송에 휘말려 수년째 흉물스러운 구조물이 남아 있는 양산역 전경.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