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주민참여예산제 도입에 따라 실시한 주민설문조사 결과에서 기존 도시개발분야 투자보다 ‘교육’과 ‘복지’ 분야에 더 많은 예산이 투자되어야 한다고 답했다.
지난 21일 공개된 ‘2012년도 예산편성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결과’에 따르면 8월 10일부터 31일까지 인터넷 설문과 서면 설문을 실시해 모두 497명이 참여한 가운데 시가 내년에 가장 관심을 두고 투자할 분야에 대한 질문에 응답한 시민들은 교육(21.2%), 사회복지(14.5%), 환경보호(14.1%), 문화관광(12.1%), 산업(11.4%), 교통(9.6%), 안전(5.7%), 지역개발(4.0%), 보건(3.7%), 농업(3.6%) 순으로 답했다.
그동안 산업과 교통 등 지역개발사업에 대한 욕구가 높았던 것에 비해 교육, 복지, 환경, 문화 등 생활과 직결되는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같은 경향은 재정투자를 줄여야 하는 분야에 대한 질문에서도 농업과 지역개발이 가장 많은 응답을 얻은 것과 유사한 흐름이다.
재정운영부문에서도 체납세 징수ㆍ탈루세원 발굴 등 자주재원을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32.6%로 가장 높았으며, 신규사업 억제를 통한 긴축재정 운영이 21.6%로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은 응답자가 재정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응답한 교육분야에서 눈에 띄는 것은 교육분야에 우선투자해야할 항목으로 방과후 학습시스템 등 공교육 강화에 재정을 투자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35.8%로 가장 많았다는 것이다. 뒤를 이어 학교시설개선(24.1%), 평생교육프로그램 확대(12.7%), 무상급식지원 확대(9.5%), 직업교육 지원(11.3%), 영어체험캠프 운영(6.6%) 순이었다.
복지분야에서는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29.8%), 인재육성ㆍ평생교육 활성화(25.6%), 사회복지시설 확충(18.9%), 공공보건의료 확충(14.7%), 저소득층ㆍ장애인 교육기회 확대(11.1%)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가 눈길을 끄는 것은 서면으로 실시한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가 이ㆍ통장, 사회단체장 등 40대 이상 주민들로 비교적 보수성향을 보이는 계층이 ‘교육’과 ‘복지’를 우선투자해야 할 분야로 손꼽았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