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무허가 건축물과 폐기물 등이 난립해 있는 문화시설부지 전경. 방치된 부지 너머로 수질정화공원 환경홍보관이 보이고 있다. |
ⓒ |
‘등잔 밑이 어둡다’
시민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거듭난 수질정화공원(옛 하수종말처리장) 인근이 무허가 건축물과 버려진 폐기물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지만 특별한 대책 없이 방치가 장기화되고 있다.
시는 지난 2008년 11월 동면 금산리 수질정화공원 인근 3만6천641㎡ 부지를 문화시설로 도시계획을 변경했다. 이곳은 故 오근섭 전 시장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던 3천석 시민회관 건립예정지였다. 시는 전국 최대 규모인 시민회관을 건립하기 위해 1억2천여만원을 들여 타당성 용역까지 실시했지만 ‘과잉투자’라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나동연 시장 취임 이후 대형개발사업 재검토 과정에서 3천석 규모의 시민회관 역시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이후 도시계획시설 변경 절차까지 마친 이곳에 대해 시는 특별한 활용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채 사실상 방치상태로 일관해왔다.
최근 행정사무감사에서 심경숙 의원(통합진보, 양주ㆍ동면)은 시가 방치해온 문화시설부지에 무허가 건축물과 폐기물로 인해 도시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수질정화공원과 양산천 산책로를 따라 이곳을 지나는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수질정화공원 환경홍보관이 마주보이는 곳에 버려진 폐기물과 불법건축물이 방치되어 있다”며 “더욱이 시가 운영하고 있는 육묘장이 부지 진입로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시가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채 방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이곳이 문화시설부지로 지정된 만큼 수질정화공원과 연계한 도시계획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곳은 과거 유수지 역할을 하던 곳으로 대부분 국ㆍ공유지이다. 더구나 수질정화공원과 4대강정비사업지구인 가산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또한 현재 신도시 개발 사업에 따라 부지 주위로 도로 개설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대해 심 의원은 “현재 명확한 책임부서가 없어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부서 간의 협의를 통해 도시정비사업과 같은 구체적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당초 시민회관 건립 계획 부지에서 계획이 무산된 후 잠시 공원화 계획 등이 논의된 바 있다”며 “부서간 업무 협의를 통해 조속히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