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시공으로 철도 레일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부산도시철도2호선 양산선 구간에 대해 부산시가 재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본지 400호, 2011년 10월 18일자>
지난해 10월 부산시의회는 2007년 8월 부산교통공사가 양산선 호포~증산 구간 교각 가운데 2곳에서 심각한 뒤틀림 현상을 발견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다음 해인 2008년 1월 양산선을 개통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당시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뒤틀림 현상 발견 이후 계측을 통해 보강공사를 실시, 안전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의혹을 일축했다.
하지만 최근 시공사와 토목학회, 감리업체가 안전도 검사 결과를 조작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또다시 양산선 안전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2004년 양산선 교각의 1차 안전도 검사를 담당했던 한 업체 대표는 지난 16일 자사 직원 2명과 2차 안전도 검사의 신빙성 여부를 담당했던 토목학회 교수, 시공사 공사팀장, 감리업체 직원 등 모두 5명을 사문서 위조 및 신용훼손 등의 혐의로 부산지검에 고소했다.
이 업체 대표는 고소장을 통해 지난 2005년 양산선 교각의 2차 안전도 검사를 용역받은 업체와 1차 안전도 검사를 진행한 업체의 검사 결과를 비교한 토목학회의 보고서가 조작돼 자신의 업체 신용을 훼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소장에 따르면 1차 안전도 검사에서 모두 15개의 교각 가운데 5개의 교각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시공사와 교통공사에 보강공사를 주문했지만 2차 안전도 검사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는 것.
고발한 업체 대표는 “짧은 기간 동안 보수공사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토목학회가 제출한 비교보고서에는 우리 회사가 실시하지도 않은 검사 항목이 포함됐고, 토목학회와 계약조차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자 부산시는 대한토목학회에서 재검사를 실시할 때 건전도 시험 자료에 감리 서명이 있고, 해당 업체 직원이 참여한 사실이 확인돼 건전도 검사가 정상적으로 이뤄졌지만 기초공사를 담당했던 회사가 없어져 계약관계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는 해명을 내놓았다.
또한 양산선 안전 문제가 거듭 논란이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재검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교통공사에서 학계ㆍ업계ㆍ도시철도 관련 전문가 위원회를 3월께 구성해 양산선 안전 문제를 재점검할 계획”이라며 “재점검 결과 필요한 보완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