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전거동호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낙동강 자전거도로가 응급사고에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4대강 정비사업이 이달 말 준공예정인 가운데 앞서 개통한 자전거도로에서 응급사고가 발생할 경우 구조차량의 진ㆍ출입이 원활하지 않은 데다 드넓은 구간에 별도의 위치 표시가 없어 구조 요청도 수월하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여름 장마철을 앞두고 기상 악화로 인해 자전거 이용자의 출입을 통제할 필요가 있지만 이를 통제할만한 방법도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양산의 경우 낙동강 정비사업에 따라 물금과 원동지역 등에 모두 22.2km의 자전거도로가 개설돼 있다. 여기에는 물금취수장에서 원동취수장까지 2.2km에 이르는 ‘황산강 베랑길’이 대부분 교량 형태로 연결돼 있다.
하지만 자전거도로와 연결된 차량 진입로는 서너 곳에 불과할 뿐 아니라 현재 공사차량과 이후 유지관리를 위한 차량진입도로와 자전거도로가 연결된 곳도 제한적이다. 따라서 응급사고가 발생할 경우 빠른 시간 내 응급환자를 후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사고 발생 시 구조 요청을 하고 싶어도 정확한 지점을 찾기 어려운 것도 응급사고에 취약한 대목이다.
등산로의 경우 고도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판이 곳곳에 설치돼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지만 낙동강 자전거도로는 거리나 위치를 표시하는 별도의 시설물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부산, 경남 등 외부에서 온 자전거이용자들은 더욱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기상 변화로 인한 출입 통제가 어렵다는 점도 문제 가운데 하나다. 특히 베랑길 구간의 경우 강풍이나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추락의 위험이 있어 관리가 필요한 구간이다.
이에 대해 앞으로 자전거도로를 관리해야 할 시 역시 난색을 보이고 있다. 준공 이후 낙동강 정비사업 구간 시설물을 인수인계해야 하지만 현재 국토관리청이 별도의 재난대비시설을 설치할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결국 인수 이후 시가 별도의 예산을 마련해 진ㆍ출입로 개선, 위치 표식, 출입통제 대책, 재난대비 방송시스템 등을 구축해야 하지만 코 앞으로 다가온 장마철까지 이들 사업을 마무리하기가 쉽지 않은 형편이다.
시 관계자는 “장마철 응급사고를 대비해 낙동강 정비사업 구간에 내원사계곡 등에 설치돼 있는 재난방송시스템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생각이지만 원체 사업구간이 넓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앞으로 시설물 인수인계가 완료되는 대로 자전거도로 내 구간 표시와 인근 마을, 위치 등을 알릴 수 있는 표지판을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