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학교 앞은 ‘불량푸드존’
..
사회

학교 앞은 ‘불량푸드존’

김민희 기자 minheek@ysnews.co.kr 입력 2013/04/09 08:54 수정 2013.04.09 08:54
어린이 식품안전구역 시행 4년, 제 역할 못해

지난해 221곳 단속 결과 시정조치 6건에 그쳐



지난 4일 오후 2시께 웅상지역의 한 초등학교 앞. 하교 시간 교문 밖으로 쏟아져 나온 학생들이 학교 앞에 있는 슈퍼 겸 문구점 안으로 우르르 들어갔다. 동전 몇 개만 들고 문구점으로 온 아이들은 화려한 색으로 포장된 저가 간식류를 손에 들고 문구점을 나섰다.

아이들의 손에 들린 식품 대부분은 100원에서 200원, 비싸야 500원 안팎인 과자였다. 이 문구점에는 일반슈퍼에 있는 각종 음료수와 과자, 빵 등의 간식거리도 판매했지만, 일반 과자류 판매대에서 간식을 고르는 학생을 찾아보긴 어려웠다.

중부동에 있는 다른 초등학교 앞 문구점도 사정은 비슷했다. 20여 가지가 넘는 초콜릿과 과자 등 저가 간식류를 펼쳐놓고 하교하는 아이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곳에서 판매하는 스낵류는 포장 뒷면의 한글표시사항에 따르면 거의 모든 제품이 합성착색료와 합성착향료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5학년 신아무개 학생은 “편의점이나 슈퍼에 가면 천원으로 한 가지밖에 먹지 못하지만, 문구점에 오면 여러 가지 과자를 고를 수 있어 자주 온다”고 말했다.

이처럼 학교 주변 식품 안전을 위해 도입한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이하 그린푸드존)’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푸드존은 어린이들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거리 환경 조성을 위해 학교와 해당 학교의 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 200m 범위 안 구역에서 고열량ㆍ저영양 식품, 부정ㆍ불량식품, 유해물 첨가 식품 등의 판매를 금지하는 제도다. 올해로 시행 4년째를 맞고 있지만, 아직도 저가 과자나 고열량ㆍ저영양 식품들이 학교 주변에서 판매돼 어린이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그나마 최근에는 등록번호나 사업자 번호, 수입 국적 등이 기재된 제품들이 대부분이나 중국산, 인도네시아산 원재료나 합성착색료, 합성착향료 등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많다.

학부모 이아무개(34, 중부동) 씨는 “아직도 학교 앞에서 불량식품을 팔고 있어 놀랐다”며 “아이들이 하교 후에 어떤 음식을 먹는지 학부모들이 하나하나 관리하기 어려운 만큼 시가 먼저 이런 불량식품을 학교 근처에서 팔지 못하도록 관리에 힘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양산 내 그린푸드존으로 지정된 46구역 221개소를 상대로 대대적인 점검을 펼쳤지만, 유통기한 1~2일 정도를 위반하는 등의 이유로 6개 업소가 시정 조치를 받았을 뿐, 실제 행정 처분을 받은 곳은 한 곳도 없다.

시 관계자는 “식품 점검은 업체들이 잘할 수 있도록 끌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계도 위주로 단속을 진행해왔다”며 “현 정부가 부정ㆍ불량식품을 4대악 중 하나로 꼽고 있는 만큼 올해는 시가 앞장서서 아이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식품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