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겨울철 불청객 저온화상
겨울 한파로 인해 날씨가 쌀쌀해졌다. 전기장판과 온수매트 등 난방용품 사용이 늘어나면서 화상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저온화상과 열성홍반 환자가 많다.
저온화상이란 40~60℃ 정도 비교적 낮은 온도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돼 화상을 입는 것을 말한다. 보통 1~2도 화상으로 가볍게 생각하기 쉬운데, 저온화상은 장시간에 걸친 화상이기 대문에 증상을 눈치 챘을 때는 이미 화상이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저온화상은 고온화상보다 상처 면적은 좁지만 깊이는 깊다. 이 때문에 저온화상 환자 대부분은 3도의 중화상 환자다. 3도 화상은 피부 표피는 물론 진피층까지 화상에 노출된 상황이다.
저온화상은 화상을 입어도 이를 내버려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증이나 열감을 느끼기 어렵고 초기증상도 물집이나 홍반(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혈관 확장으로 피가 많이 고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정도에 그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온화상은 방치하면 피부 변색, 가려움증, 피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통증은 물론 피부괴사로 이어져 심하면 피부 이식수술까지 받아야 할 수도 있다.
열성홍반 역시 피부가 화상을 입지 않을 정도의 약한 열에 계속 노출돼 홍반과 색소침착 현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열 노출을 줄이면 홍반은 점차 사라지지만, 색소침착은 영구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평소 당뇨병 등을 앓고 있는 환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피부가 울긋불긋해질 수 있고 심할 경우 화상도 입을 수 있다.
저온화상 수면 때 주의해야
퇴근 후 지친 몸으로 귀가해 따뜻한 이불 속에서 취하는 휴식은 겨울철 최고의 행복이다. 꽁꽁 얼어붙은 몸을 녹이기 위해 보통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온도를 높인 체 잠을 청한다.
문제는 깊은 잠에 빠지면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 피부가 익어 감각이 무뎌지고 피부가 타는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술을 마셨거나, 수면제나 감기약을 먹었을 때 깊은 잠에 빠져 저온화상 위험이 높다.
저온화상 빠른 대처는 필수
전기장판, 온수매트, 난로 등 난방용품으로 인한 저온화상과 열성홍반은 빠른 응급처치를 해야 추가 상처를 예방할 수 있다.
저온화상은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를 흐르는 물에 20여분 담가 화기를 제거해야 한다. 얼음을 사용하거나 20분 이상 화기를 제거하는 경우 되레 저체온증이나 통증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저온 화상으로 물집이 생긴 경우 터트리지 않는다. 화상 물집 속 삼출액(몸 안 체액이 배어 나온 것)은 화상 부위가 공기 중에 노출과 2차 감염이 되는 것을 막는다. 물집은 터지지 않게 거즈나 수건으로 감싼다. 간단한 응급 처치 후 병원을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좋다.
열성홍반은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 온열 제품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는 로션을 발라 마사지해주면 피부 진정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난방용품 저온화상 예방법
난방용품 적정온도는 사람 체온과 비슷한 37~40℃ 사이다. 모든 난방용품은 살이 난방용품과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기장판이나 온수매트 위에 두꺼운 이불이나 요를 깔면 열을 분산해 저온화상을 피할 수 있다. 전자파가 차단되는 난방용품은 3~4시간, 전자파 차단기능이 없다면 1~2시간을 넘겨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취침 전 타이머기능을 이용해 시간이 지나면 꺼지도록 설정하는 게 좋다.
난방용품 제품 구매 때 가격, 사후관리(AS) 여부, 안전성을 따져야 한다. 값이 싸고 검증되지 않은 난방용품은 화상은 물론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찜질팩은 1시간 미만, 즉 단시간 사용해야 한다. 과도한 찜질팩 사용은 전자파로부터 위험은 물론, 혈액을 탁하게 만든다. 핫팩 역시 사용할 때 천으로 감싸거나 옷 위에 올려놓고 사용한다. 같은 부위가 아닌 여러 부위에 돌려가며 사용하는 것이 저온화상 예방에 좋다.
잠을 잘 때 핫팩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핫팩은 전기장판, 온수매트 등 온열기구와 함께 사용하거나 침구 속에서 사용할 때 온도가 급상승하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