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양산시민신문

“주민 여론 반영 없는 원전 추가 건설 반대”..
사회

“주민 여론 반영 없는 원전 추가 건설 반대”

이현희 기자 newslee@ysnews.co.kr 입력 2016/06/28 09:01 수정 2016.06.28 09:01
[이슈&현장] 신고리 5ㆍ6호기 추가 건설 허가… 원전 불안감 확산
기장지역만 원전 10기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 웅상 주민 부글부글
지역정치권 반대 ‘한목소리’,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설정 놓고 논란 재연












ⓒ 양산시민신문


“머리맡에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을 두고 살 수 없다”


지난 23일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김용환)는 전체회의를 열고 신고리 5ㆍ6호기 건설허가안을 의결했다. 이날 심의 후 실시한 표결 결과 위원 9명 가운데 7명이 찬성해 추가 건설을 결정한 것이다.



이번 결정에 따라 2012년 9월 한국수력원자력이 신청한 1천400MW급 신형경수로 2기를 기장지역에 추가로 건설하게 된다. 현재 이 지역에는 고리 1~4호기와 신고리 1~4호기 등 모두 원전 8기를 운영하고 있다.



내년 6월 고리원전 1호기를 폐쇄하지만 4ㆍ5기 원전이 건설되면 9기의 원전이 운영되는 셈이다. 건설을 마무리하면 고리원전단지는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이 된다.



추가 원전 건설 허가 소식이 전해지자 가장 먼저 웅상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웅상지역의 경우 원전지역과 직선거리로 불과 13km 떨어져 있어 후쿠시마 원전사태 이후 원전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웅상지역 인터넷 커뮤니티인 웅상이야기(http://cafe.naver.com/ungsangstory)에서는 추가 원전 허가 소식이 전해지자 회원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대부분 원전 추가 건설에 대한 반대 입장으로 이번 결정이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진행됐다는 사실에 분노를 나타내기도 했다.



또한 서울 등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추가 원전을 계속 설치하는 것이 지역을 무시하는 처사라는 입장과 대체에너지 개발을 통해 위험한 원전을 막고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반응도 나왔다.















ⓒ 양산시민신문


원전 반경 30km 거주 인구 350만

다수호기 안정성 평가 실시 요구



지역 정치권 역시 추가 원전 건설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고 사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서형수 국회의원(더민주, 양산 을)은 추가 원전 허가 심의를 앞두고 21일 발족한 ‘탈핵ㆍ에너지 전환 국회의원 모임(이하 탈핵국회모임)’에 동참해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 중단을 주장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결정을 앞두고 열린 기자회견에서 탈핵국회모임은 “최대 거리가 고작 3.5㎞ 정도로 불과한 좁은 땅에 10개의 원전을 밀집시키는 것은 지구상 어디에도 유례가 없는 위험천만한 일”이라며 “고리-신고리 원전 반경 30㎞ 안 거주 인구는 무려 380만명으로 만에 하나 원전 사고는 일부 지역 오염이 아니라 국가 붕괴까지 불러올 대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윤영석 국회의원(새누리, 양산 갑) 역시 “고리 원전 반경 25km 이내에 30만 양산시민이 거주하는 만큼 안전을 최우선으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근본적인 건설 계획부터 안전성 분석까지 투명한 검증과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양산시의회는 28일 정례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고리원전 5ㆍ6호기 건설 반대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한편, 추가 원전을 둘러싼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양산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설정도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원전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일어났을 때 피해 거리를 예측해 미리 대피소나 방호물품, 대피로 등을 준비한 구역으로 현재 양산시는 고리 원전으로부터 21~22km 떨어진 웅상지역 4개동과 동면 일부 지역까지 구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지난해 3월 구역 설정을 위한 공청회 이후 시는 줄곧 21~22km 안을 고집했고, 시의회는 시민 안전을 위해 최대 거리인 30km로 구역을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맞서왔다.



결국 시는 ▶부산ㆍ울산시와 형평성 유지 ▶웅상지역 주민 대피지역 확보를 위한 양산 주도심 제외 ▶부산시 자체 용역 결과와 경남발전연구원 권고거리 20km 반영 ▶국제 기준과 일본 후쿠시마 사고 때 실제 주민 대피 범위(20km) ▶양산부산대병원 방사선비상진료기관 지정 추진으로 인프라 구축 ▶대피 시간과 도로망, 구호소 준비 등 주민보호조치 실효성 등을 검토한 결과 ‘21~22km 안’을 타당한 것으로 보고 경남도에 의견서를 제출했으며, 한국수력원자력(주)가 이를 확정했다.


하지만 여전히 시의회는 원전 비상사태 발생 시 위험지역이 광범위하므로 사각지대가 없도록 비상계획구역을 30km로 확대ㆍ설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구역 재설정으로 요구하고 있어 원전 추가 건설 허가 이후 시와 시의회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저작권자 © 양산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