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교육지원청은 초등학교 3ㆍ4학년을 대상으로 ‘생존 수영’ 10시간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은 양산주민편익시설에서 초등학생들이 생존수영을 배우고 있는 모습. |
ⓒ 양산시민신문 |
최근 수영장에서 수영 강습을 받던 초등학생이 물에 빠져 숨지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존 수영 교육 안전성에 우려가 나오고 있다. 양산지역도 양산주민편익시설과 국민체육센터, 웅상문화체육센터 수영장을 활용해 초등학생 생존 수영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데, 교육 방침과 안전에 대해 일선학교는 물론 교육청에서도 제때 안내를 하지 않아 학부모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학부모들은 “시설도, 강사도 부족한 현재 상태에서 교육지원청이 어떻게 생존 수영 교육을 하고 있는지, 또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는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 제대로 알지 못해 불안하다”며 “최근 들어 수영장 익사 사고가 이어지니까 우리 아이에게도 위험한 일이 생기진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생존 수영 교육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초등학생 수상안전사고 대처 능력을 키우겠다는 취지로 교육부가 시행하고 있다. 양산교육지원청은 정책에 따라 지난해 초등학교 3학년에게만 실시한 수영 교육을 올해 3ㆍ4학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해마다 한 학년씩 추가해 전체 초등학생에게 수영교육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강사 2명, 교사 2명, 학부모 2명 이상
교육 현장에 함께하는 안전규칙 마련
현재 양산지역은 국민체육센터 성인 풀 4개 레인과 유아 풀, 주민편익시설 성인 풀 3개 레인, 웅상문화체육센터 유아 풀 4개 레인을 활용해 36개 초등학교 3ㆍ4학년 3천611명을 교육하고 있다.
교육부는 10시간 의무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양산시는 지역 수영장 상황과 초등학생 체력 등을 고려해 한 학급당 1시간 30분씩 주5일 강습하고 있다. 안전한 교육을 위해 한 학급(25명 기준)당 수영강사 2명이 배치되며 학교 교사 2명, 학부모 2명 이상이 참관하도록 규정했다.
교육 과정은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강사들이 계획했다. 난이도는 수영 초급 학생을 기준으로 하며 ‘떠서 나아가기’, ‘물 속 보며 나아가기’, ‘자유형으로 나아가기’, ‘킥 판 없이 수영하기’ 등으로 구성돼 있다.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강사와 직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응급처치법 교육을 수시로 진행하며 제세동기와 비상 약품 등을 비치하고 있다.
양산교육지원청은 “생존 수영 교육을 위해 교육지원청과 각 시설 팀장 등으로 구성된 T/F팀을 꾸려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게끔 꾸준히 관리ㆍ감독하고 있다”며 “아이들 안전을 위해 하는 교육이 오히려 안전하지 못한 게 아니냐는 불신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학부모들은 “1년에 10시간가량 수영교육을 한다고 해서 아이들에게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알 수 없는 거 아니냐”며 교육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교육지원청은 “교육 후 1주일 이내에 강사로부터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나 수영 실력 향상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있다”며 “부진 학생들에게 별도로 추가 강습을 진행하고 있진 않지만, 해마다 의무교육 대상을 늘려가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졸업 전까지 충분히 생존 수영을 익힐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