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부터 양산시립박물관에서 지역 문화인사, 원로, 학계 등 관련 전문가 자문과 검토를 거쳐 유명 관광지와 지정문화재를 제외한 양산의 명승, 유허지를 조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양산시는 기존 안내판 설치 장소와 사업추진 불가 대상을 제외한 36곳을 선정했다.
강학대, 경파대 등 뛰어난 절경을 가진 명소와 송담서원, 안근묘, 안이명묘 등 우국충절 정신이 깃든 명소, 동제유적, 국사당 등 우리 민족 전통문화를 알 수 있는 장소 등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으나 역사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 안내판 설치 지역으로 선정됐다.
![]() |
↑↑ 영포리 영포마을 동제유적에 설치한 문화유적 안내판. |
ⓒ 양산시민신문 |
이후 각 유허지에 대한 안내판을 한글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4개 국어로 작성했으며, 1차로 22곳에 안내판을 설치했다. 금호사, 개곡리 개곡 동제유적, 내송리 내송 동제유적 등 12곳은 유허지 환경에 어울리는 목재로 안내판을 만들었으다.
경성루지, 양산동헌터, 두연대터 등 터 자리를 나타내는 7곳은 석재를 이용해 유허지를 가리지 않도록 했다. 이처럼 각 안내판은 유허지 역사성, 지역 환경 등과 어울릴 수 있도록 미관을 살리는 디자인을 적용했다.
양산시 문화관광과는 “양산정신 선양사업을 위한 안내판 설치로 양산 정체성은 물론 역사문화도시로서 입지도 확립할 것”이라며 “역사인물과 유허지를 바탕으로 한 4개 국어 스토리텔링으로, 국제적 관광 자원 활용과 지역 홍보를 강화해 관광객 유치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