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양산시의회 제147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임정섭 시의원(민주, 물금ㆍ원동ㆍ강서, 사진 왼쪽)은 5분 자유발언에 나서 양산시 재난대응에 있어 미숙한 행정업무처리 개선을 요구했다. 임 의원은 태풍 차바로 인한 피해 복구에 노력한 공무원 노고를 인정하면서도 재난 발생 시 매끄럽지 않았던 점을 지적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임 의원은 “10월 5일 태풍이 발생했을 때 재난센터에는 직원 10여명이 피해상황만 접수했을 뿐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며 “피해상황이 접수되면 각 실ㆍ과로 발빠르게 전파해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지만 피해 집계조차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재난안전대책본부 기능이 예방ㆍ대비ㆍ대응ㆍ복구 등 업무를 총괄해야 하는데 ‘컨트롤타워’ 역할이 정상작동하지 않았다는 것이 임 의원 주장이다.
또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상북면 대우마리나아파트 현장에서 지휘 책임을 맡은 공무원이 불분명한 가운데 역할 분담이 이뤄지지 않아 우왕좌왕하는 자원봉사자 모습에서 양산시 재난대응의 미숙함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한편 임 의원에 이어 자유발언에 나선 이종희 시의원(새누리, 상ㆍ하북, 사진 오른쪽) 역시 수해복구과정을 통해 또 다른 수해를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하천 관리’ 중요성을 강조했다.
![]() |
ⓒ 양산시민신문 |
이 의원은 “항상 피해가 나는 지역은 피해가 나고 또한 언제든 피해가 날 우려가 있는 곳”이라는 사실을 언급하며 “복구계획 수립 시 지역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수해 복구를 위한 하천 관리 방안에 대해 ▶하천 복개지역 특별 관리 ▶물 흐름을 방행하는 노후교량 재배치 ▶법면 보강 ▶양산천ㆍ소하천 합류지점 정비 ▶자전거도로ㆍ산책로 침수 대비 ▶하천 인공구조물 제거 등을 손꼽으며 따로 준비한 영상자료를 통해 구체적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갑작스런 폭우는 어쩔 수 없지만 차후에 이번 같은 아니, 더할 수도 있는 수해에 완벽히 대응해 시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양산시가 철저한 재난 대책 수립에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