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양산시민신문 |
지난 15일 양산시는 경기도에서 살충제 성분(피프로닐, 비펜트린)이 검출된 계란이 발견된 이후 농림부 조치에 따라 지역 내 산란계 농장 25곳 103만수를 대상으로 출하 중지시켰다. 양산시는 산란계 농장 계란을 즉각 수거해 경남축산진흥연구소에 살충제 잔류 여부를 검사의뢰했다. 양산시는 검사 기간이 이틀 정도 소요될 것으로 내다보고, 이상이 없을 경우 출하를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상을 발견할 경우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라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살충제 성분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계란은 식용 목적으로 유통을 금지하고, 위반농가로 지정해 6개월 동안 규제검사 대상으로 관리한다. 특히 양산지역은 하루 약 90만개 계란을 생산ㆍ출하해 부산ㆍ경남을 비롯해 전국으로 유통하는 최대 산란계 농가 밀집지역이어서 이상이 발견될 경우 파장이 클 전망이다.
양산시는 “산란계 사육농장 잔류물질 일제검사를 실시하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동물의약품 사용기준 준수 지도ㆍ점검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먹거리를 지키기 위해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살충제 계란’ 후폭풍은 시민에게 직접 피부로 와 닿고 있다. 정부가 계란 출하를 전면 중단키로 결정하자 대형마트와 농협, 편의점, 온라인사이트 등 계란 유통점 역시 일제히 계란 판매를 중단하면서 텅 빈 매대가 눈에 띄었다. 조류 인플루엔자(AI)에 이어 살충제 파동이 겹치면서 계란 위생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 조사 결과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계란 공급 차질을 방지하기 위해 20만 마리 이상 대형농가부터 우선 조사한 뒤 문제가 없는 계란은 ‘검사합격증’과 같은 표시를 부착해 16일부터 유통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