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을 대표하는 지역 축제 ‘2017 양산삽량문화축전’이 10월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열린다. 삽량문화축전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지난 16일 추진위원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올해 삽량문화축전 방향을 제시하는 추진 계획안을 공유했다.
추진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양산의 찬란한 역사인 삽량 시대를 재현하는 역사문화축전, 시민참여축전, 지역문화진흥축전 등을 목표로 삼았다. 삼국사기에 박제상 공과 함께 삽량 도독으로 기록된 김서현 장군을 양산의 중요한 역사 인물로 봤으며, 문헌에는 남아 있지 않지만 아버지인 김서현 장군을 따라 삽량에서 청년 시절을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김유신, 그리고 그들이 이끈 화랑 문화 등 관련한 콘텐츠를 보강해 미래 문화콘텐츠로 재창조한다고 밝혔다.
먼저 지난해 선보였던 ‘삽량의 출정식’을 올해도 선보인다. 김서현 장군과 김유신 화랑이 전쟁터로 출정하는 출정식을 재현하는 것으로 마상무예와 타악기 공연, 길군악, 선무도(호국불교정신이 깃든 화랑의 무예) 등이 어우러진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여기에 올해 ‘삽량의 연회’라는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한다. 신라를 방문하는 외국 문화사절단 모습과 이를 영접하는 연회를 재창조한 것으로 일본,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전통 공연과 이를 환영하는 공연으로 구성한다. 삽량문화축전 상징인 삽량성 역시 단순 전시물을 넘어 실물로 설치해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문을 연다. 관람객이 직접 삽량성을 오를 수 있고 수문 병사도 세워 포토존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지난해와 달라지는 점도 많다. 우선 삽량문화축전 시작을 알렸던 고유제가 ‘서제’로 이름을 변경하고 장소 역시 효충사가 아닌 충렬사에서 진행한다. 또 개막식을 화려하게 꾸몄던 ‘양산천 빛의 대향연’도 레이저를 제외한 불꽃 쇼로만 이뤄지며 시간 역시 24분에서 15분으로 줄어든다.
![]() |
↑↑ 지난해 선보였던 ‘삽량의 출정식’ 모습. 올해는 이 프로그램을 보강함과 동시에 ‘삽량의 연회’, ‘삽량성 체험전’ 등으로 축전 주제인 삽량을 더 강조하고 삽량의 의미와 가치를 알릴 예정이다. |
ⓒ 양산시민신문 |
양산천을 중심으로 했던 삽량문화축전 행사장을 양산종합운동장 일부와 북부천까지 포함해 더 넓게 구성한다. 북부천까지 소망등을 설치하고, 북부천에 관람객이 직접 만든 LED 종이배를 띄울 수 있게 할 예정이다. 특히 불법 야시장과 노점상 등으로 해마다 시민 불편을 일으켰던 종합운동장 일부 구역을 ‘양산기업 특가전’과 ‘양산시민 프리마켓’ 공간으로 활용해 야시장과 노점상을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삽량 먹거리촌 역시 ‘삽량 맛집촌’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13개 읍ㆍ면ㆍ동을 대표하는 맛집을 유치해 양산만의 맛을 관람객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이 밖에 삼조의열 충절을 샌드아트로 보여주는 ‘삼조의열 충절전’, 지역에서 보존해야 할 역사 문화로 손꼽히는 가야진용신제, 웅상농청장원놀이도 마련돼 있다. 양산시민 끼를 펼치는 청소년 갓 탤런트, 버스킹 퍼레이드, 추억의 콩쿠르, 양산풍물경연대회, 삼장수 씨름대회, 삼장수 기상춤 퍼레이드, 시민 전시ㆍ체험 부스 등 시민 참여 체험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양산 예술인이 함께하는 전시와 사생대회, 도예전도 운영하며 통도사와 양산시립박물관을 문화해설사와 함께 탐방하는 삽량주 문화탐방길도 계획돼 있다.
같은 기간 양산시평생학습축제도 연계해 평생학습을 알리는 체험 부스, 평생학습 동아리 경연 한마당을 운영해 한층 풍성한 축제로 꾸민다.
삽량문화축전추진위원장인 나동연 양산시장은 “지난해 변화를 꾀함으로서 삽량문화축전이 경상남도 우수문화관광축제로 선정돼 그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며 “더 많은 시민이 축전을 통해 삽량 가치, 양산 역사를 제대로 알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삽량문화축전을 잘 꾸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추진위는 오는 28일부터 내달 25일까지 삽량문화축전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 대학생부터 성인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100명 이내를 모집한다.
자원봉사자로 선발된 이들은 내달 28일 사전교육을 받은 후 삽량문화축전 현장에 투입된다. 자원봉사 활동 시간이 인정되며 식사와 간식을 제공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시민은 삽량문화축전 홈페이지(www.yangsanfes.com) ‘공지사항’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한 후 이메일 또는 팩스로 신청하면 된다.
문의 392-25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