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산시민신문 |
환승센터는 양산시가 도시철도 접근성 향상과 대중교통 환승 편의를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추진한 이후 양산시 시내ㆍ마을버스 노선 합리화 용역을 시작으로 대대적인 노선 개편안과 환승센터 건립을 위한 단계를 밟아왔다. 지난해 노선 합리화 용역을 토대로 시내ㆍ마을버스 노선을 조정해 지난해 3월부터 노선 개편안을 적용했다. 이때부터 ‘양산역 환승센터’라는 역을 신설ㆍ운영하며 양산역 1번 출구 인근을 환승센터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후 올해 2월부터 공사에 들어가 지난 17일 준공식을 열고, 운영에 들어간다.
환승센터는 6천744㎡ 규모에 버스 승강장 5곳과 택시 승강장, 기사 휴게실, 버스 대기 공간 등을 갖추고 있다. 환승센터에 정차하는 버스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부산과 울산 운행 시외버스 등 모두 23개 노선이다. 양산에서 운행 중인 41개 노선 가운데 56%에 해당하는 것으로, 23개 버스가 하루 503회 환승센터에 정차한다.
환승센터를 통해 양산 곳곳은 물론, 부산과 울산 등 시외로도 노선이 연결된다. 시민은 환승센터에서 버스 환승을 통해 물금, 부산, 통도사, KTX울산역, 웅상, 원동 등 양산 주요 지역을 편리하게 갈 수 있다. 또한 환승센터 바로 옆에 도시철도 2호선 양산역이 있으며 환승센터 인근 택시 승강장도 있어 다른 대중교통까지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다.
ⓒ 양산시민신문 |
환승 승강장은 모두 5곳으로, 1번 승강장은 환승센터 출발 노선과 웅상, 상ㆍ하북 방면 버스가 들어온다. 10번(내석), 13번(KTX 울산역), 52번(용당), 56번(용당), 57번(영산대), 85번(우방아파트), 87번(명곡), 113번(대석), 1000번(태봉(배내골)), 3000번(KTX 울산역) 등이다. 2번 승강장은 석산, 호포, 북정 방면으로 8번(석산동원2차), 24번(호포), 24-1번(호포), 26번(양산부산대병원), 32번(북정). 32-1번(북정), 128번(북정), 128-1번(북정), 마을2번(하북정회관) 버스가, 3번 승강장은 물금과 원동 방면으로 16번(증산), 17번(증산), 52번(양산부산대병원), 138번(소원동), 1500번(증산) 버스가 정차한다.
4번과 5번 승강장은 환승센터 맞은편 이마트 건물 방향 도로에 있다. 부산과 북정, 용선 방면 버스가 서는 4번 승강장에서는 16번(동래), 17번(노포동), 24번(용선), 24-1번(용선), 26번(북정), 1500번(명륜동), 마을2번(회현동) 버스를 탈 수 있다. 5번 승강장은 물금 방면 버스인 8번(증산), 10번(시립도서관 정문), 32번(증산), 32-1번(증산), 128번(증산), 128-1번(증산)을 이용할 수 있다.
나동연 양산시장은 “양산역 환승센터는 부산ㆍ울산 간 광역교통망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며 대중교통 이용객 환승 편의 증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며 “환승센터를 운영하며 불편한 점과 개선할 점이 분명 있으리라 생각하고 그 점들을 하나하나 고쳐나가면서 시민 삶에 유익한, 또 안전하고 편리한 양산이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환승센터 운영으로 인해 그동안 이용했던 양산역 환승센터 임시 정류장 2곳(현 양산역 환승센터 근처, 이마트 후문 알뜰 주유소 근처)을 환승센터 이용 시작일인 23일부터 폐쇄한다. 이 밖에 이마트 정문, 양산역 앞 등 환승센터 인근 정류소는 노선 변동없이 그대로 운영한다.
![]() |
ⓒ 양산시민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