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에는 모두 5개 무대가 올라갔다. 무용수 한 명이 칼의 돌림채 묘기와 아름답고 매력 있는 춤사위로 시선을 사로잡는 ‘교방검무’(사진)로 시작해 상처와 고통, 회복, 사랑 등으로 점점 성장해가는 자아를 표현한 현대무용 ‘가시나무’, 한국 대표 민속춤으로 화려한 의상과 부채를 이용해 꽃과 나비의 율동을 표현한 ‘부채춤’, 삶에서의 선택을 주제로 한 현대무용 ‘흘러간다’, 풍물에 다양한 춤사위가 더해져 민족 신명과 흥을 잘 보여주는 ‘소고춤’ 등을 선보였다. 우리에게 익숙한 한국무용과 낯설지만 집중할 수밖에 없는 매력을 가진 현대무용이 만들어내는 춤의 향연에 관객은 박수로 젊은 춤꾼들을 격려했다.
이정희 지부장은 “시민이 재미있게 무용을 즐길 수 있도록 인식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무용협회가 노력할 것이며 수준 있는 공연으로 시민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