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최초로 시민장(市民葬)으로 거행한 영결식에는 유가족을 비롯해 양산시장과 국회의원, 도ㆍ시의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영결식은 묵념과 고 정진화 선생 약력 보고, 김일권 양산시장 조사, 박정수 양산문화원장 추모사 낭독, 유족 인사말 순으로 진행했다. 정 선생 유해는 어곡동 선산에 안장될 예정이다.
김일권 시장은 “양산의 향토사 발전을 위해 일생을 바쳐 공헌하신 지역 어른 고 정진화 님이 우리 곁을 떠나게 됐지만, 고인이 남긴 자취는 양산시민에게 오래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
|
ⓒ 양산시민신문 |
정 선생이 본격적으로 향토사 연구에 나선 것은 1983년 물금면장에 취임하면서 부터다. 1962년 경찰에 투신한 뒤 1983년 1월 기장지서장으로 근무하던 중 공석이던 물금면(당시) 면장으로 특별임용됐다. 발령장을 받고 임지로 가는 차 안에서 취임 포부와 시책을 구상 중 물금면의 역사와 전통을 찾아 바로 세우겠다는 취임사를 발표하게 된다.
6년의 면장 재임 기간 중 틈틈이 지역 원로들을 만나 향토사에 관한 자료를 수집해 오던 정 선생은 퇴임 후에도 자료 수집을 멈추지 않았다. 1993년 농지개량조합장으로 임용된 이후 그동안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물금읍지편찬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위원장을 맡아 1998년 물금읍지를 편찬했다. 자료 수집에는 한국사 박사학위를 받고 규장각에 근무하게 된 선생의 딸이 큰 힘이 됐다.
정 선생은 또 지역 원로들 모임인 ‘자연인의 모임’과 함께 양산의 항일독립운동에 관한 자료를 집대성해 2004년 ‘양산항일독립운동사’를 발간했고,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 유공자를 찾아내 보훈처로부터 서훈을 받게 하는 등 시민의 자긍심 고취를 위한 향토역사 찾기에 진력했다.
특히, 2006년에는 그동안 수집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양산의 역사 자료를 집대성한 ‘양산사료총람 제1집’을 펴냈고,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6년에는 ‘양산사료총람 제2집’을 발간했다.
양산향토사연구회장이기도 했던 정 선생은 27년의 공직생활과 6년의 농지개량조합장 근무를 통해 지역 치안과 행정에 이바지해 왔을 뿐 아니라 국사편찬위원회와 독립기념관 사료조사위원, 경남도향토사연구협의회 부회장을 역임하면서 양산향토사학계 거목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 양산시민대상(문화 분야)을 수상했으며, 2012년에는 국가기록선진화 공로로 국무총리 표창을 받기도 했다.
생전 “양산이 역사 속에서 큰 위치를 차지한 만큼 시민이 자긍심을 잃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던 정 선생은 이렇게 말했다.
“양산은 최근 20여년 동안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엄청나게 성장했죠. 많은 외부 사람이 들어와서 터전을 잡았고요. 그런데 이렇게 도시가 커졌는데 역사ㆍ문화적으로는 어떻게 변해 가는지에 대한 고민은 없어요. 샵량시대, 그 큰 역사를 강조하면서도 실제 우리 삶에 그것들을 어떻게 복원해서 삽입할지는 연구하지 않아요. 훌륭한 문화를 실제 우리 삶에 융합시킬 때 바로 도시가 건전하게 성숙한다고 생각해요. 우리 고유문화가 현재 콘크리트 문화 속에 배합돼야 튼튼한 뼈대가 되고, 그 속에 사는 시민 역시 건전한 사고를 하게 된다고 믿습니다. 먹고 사는 것만 중요한 도시는 사람이 사는 도시와 어울리지 않아요. 그게 제가 역사를 연구하는 이유인 겁니다”
![]() |
ⓒ 양산시민신문 |
고(故) 정진화 선생
1934년생. 양산시 어곡동 화룡 1212번지 출생.
약력
물금면장(1983~1989년)
양산농지개량조합장(1993~1999년)
양산향토사연구회장ㆍ부회장(2001~2009년)
양산항일독립운동기념탑 보존위원회장(2010~2012년)
양산충렬사지 편찬위원장(2011~2012년)
경남향토사연구협의회 부회장ㆍ회원(2001~ )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2003~ )
양산문화원 부설 향토사연구소 자문위원
상훈
양산시민대상(문화 부문)(2007년)
국가기록 선진화 공로 국무총리 표창(2012년)
편찬 도서
물금읍지(1997년)
임경대소고(2003년)
양산항일독립운동사(2004년)
양산사료총람 제1집(2006년)
양산읍사(2009년)
6.25 전몰군경 전사록(2009년)
양산초등학교 100년사(2012년)
양산충렬사지(2012)
양산사료총람 제2집(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