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면에 있는 예지슬어린이집은 21일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플리마켓 수익금 32만1천원을 기탁했다.
서영옥 양산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민간공동위원장이 21일 양산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2023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성과총회’에서 나동연 양산시장에게 기탁금 1억원을 전달했다. 그 가운데 5천만원은 양산지역 저소득층을 위해 지정기탁했으며, 기탁금은 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전달
양주로타리클럽은 22일 양산시장애인복지관을 방문해 동지팥죽 나눔을 위한 후원금 100만원을 전달한 뒤 음식 준비와 배식, 설거지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깜찍함으로 무장한 동면유치원 공룡비타민반 원아 21명이 양산시청을 깜짝 방문해 공무원들에게 정성껏 만든 엽서와 쿠키를 전달하고 감사 인사를 전하면서 미리 준비한 크리스마스 캐롤을 열창했다.
양산시청 건축직회는 21일 양산시인재육성장학재단에 장학금 200만원을 전달했다.
대한건축사협회 양산시지역건축사회는 21일 양산시인재육성장학재단에 장학금 500만원과 아동그룹홈을 위한 후원금 100만원을 기탁했다.
양산시수의사회는 21일 양산시인재육성장학재단에 장학금 300만원을 기탁했다. 양산시수의사회는 2019년부터 장학금을 꾸준히 기탁하고 있으며, 누적 기탁액은 1천150만원에 이른다.
(사)대한산업안전협회 경남동부지회는 21일 양산시를 찾아 200만원 상당 전기장판을 기탁했다.
1993년 개장한 통도환타지아는 코로나19 팬데믹 시작부터 현재까지 특별한 대책 없이 시설 노후화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문을 닫고 있다. 4년 가까이 휴장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28만㎡에 달하는 부지는 잡초가 무성하고, 놀이기구는 흉물로 방치돼 일대가 슬럼화되고 있다.
공 의원은 “양산시는 2024년 양산시민축구단 창단을 준비하고 있지만, 현재 종합운동장을 메인 구장으로 사용하기에는 필요한 시설과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에 곧 준공을 앞둔 하북1ㆍ2ㆍ3구장을 최대한 활용해 종합운동장을 상ㆍ하북지역으로 이전하자”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최근 천안 한 초등학교에서 여학생 1명이 또래집단 18명에 집단폭행을 당하는 사건을 언급하며 “이전 청소년 문제에 비해 오늘날 위기청소년 문제는 학교폭력, 교내 성폭력, 왕따, 음주, 흡연, 가출, 교사 폭행 등 그 정도와 잔인함이 점점 심각해 지고 있다”고
이 의원은 “양산시는 ‘문화와 예술의 도시 양산’을 위해 문화예술의 전당 건립, 황산공원 복합레저사업, 웅상 용당역사지구 복원과 회야강 친수공간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하지만 양산시가 진정한 문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물질적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동 배내에서 양산시가지로 가는 가장 빠르고 흔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지방도1051호선과 1077호선을 따라 어곡으로 나오는 길이 있다. 하지만 지방도1051호선 배내~어곡 구간은 21%가 넘는 급경사와 급커브로 인해 2006년부터 현재까지 23명이 사망하는 등 크고 작
신 의원은 “양산시는 15세대 미만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해서는 현황조차 없으며, 소규모 공동주택은 세대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단 한 차례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LX한국국토정보공사 양산지사는 13일 양산시복지재단을 방문해 어려운 이웃을 위해 써 달라며 후원금 306만원을 기탁했다.
(주)케이엠씨는 19일 양산시복지재단에 어려운 이웃을 위한 후원금 500만원을 기탁했다.
고려제강(주)은 19일 양산시복지재단에 어려운 이웃을 위한 후원금 2천만원을 기탁했다.
양산시는 “내년도 국비 예산 증액을 위해 사업 필요성을 국가적, 지역적 관점으로 건의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지원을 호소해 왔고, 국회 심의 과정을 예의주시하며 가능한 모든 창구를 통해 소통한 결과 그간 주력해 건의한 사업이 반영 또는 증액됐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에 따르면 21일 국회를 통과한 양산시 국고보조금은 미래산업 등 도시 경쟁력 강화에 645억원, 도로ㆍ교통인프라 확충 분야에 1천730억원, 기후환경ㆍ재해 예방ㆍ시민 안전 분야에 1천370억원, 보건ㆍ건강ㆍ복지 분야에 3천480억원, 교육ㆍ문화ㆍ예술 분야에 1천
양산시에 따르면 2022년 1월 아동보호팀을 신설해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 4명을 배치하고, 아동보호업무 일원화를 추진했으며, 2021년 양산시아동보호전문기관과 학대피해아동쉼터(남아) 설치를 시작으로 2023년 9월 학대피해아동쉼터(여아) 설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