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용품 꾸러미는 웅상여자중학교 교사ㆍ학생들 후원금과 한국사회복지관협회의 생리대 지원을 통해 제작했다. 여성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에 필요한 6개월분 생리대와 파우치, 찜질팩, 속옷, 사용안내서 등을 담았으며,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지난달 29일 비대면 택배 발송으로 전달했다.
최근 코로나19로 꽃 소비가 감소하자 농협 양산시지부 임직원들이 화훼농가를 돕기 위해 자발적인 1인 1화훼 구매 운동에 동참한 것이다. 이와 함께 농산물 직판장 등에 대한 판로 개척과 기관ㆍ기업체에 홍보 활동도 진행했다.
‘코로나 블루’란 코로나19에 따른 우울감과 상실감을 의미한다.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이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고 혼자가 아니라는 안도감을 느끼도록 상담 안내와 방역물품 등을 지원한다. 상담 서비스가 필요한 청소년에게 주 1회 주제별 상담 자료와 필요 물품을 우편으로 전달하고, 전화ㆍSNSㆍ문자 등 비대면 상담과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다.
조기형 회장은 “이번 나눔은 코로나로 힘든 저소득층 가운데서도 소년소녀가장 세대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자 기획했다”며 “모두가 힘든 요즘이지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주)하동(대표 문창곤)은 23일 물금읍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직접 구입한 살균소독제(500㎖) 50개를 전달했다.
양산시건축사회(회장 박범수)는 20일 양산시청 시장집무실을 방문해 코로나19 극복 후원금 500만원을 기탁했다.
NH농협 양산시지부(최원일 지부장)와 양산지역 농협 임직원 80여명은 24일 범농협 헌혈 운동에 참여했다.
우암장 식당(대표 우종숙)은 27일 돌봄 이웃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삼성동행정복지센터에 20kg들이 쌀 20포를 기탁했다.
양산시시설관리공단(이사장 정순성)은 코로나 격리시설에 24시간 3교대로 인력을 지원하고 있는 공단 직원들 노고를 격려하고, 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화훼농가를 돕기 위해 폐기 위기에 놓인 꽃 화분을 구입해 전 사업팀에 전달했다.
지난 16일 양산의 한 아파트 우체통에서“코로나 19로 어려운 소년 소녀 가장 이웃돕기에 쓰이길 바랍니다. - 1004-”라는 내용의 메모가 적힌 흰 봉투가 발견됐다.
삼성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이두영ㆍ이종여)가 훈훈한 나눔가게 홍보 안내도 1천부를 제작해 행정복지센터 민원인과 단체, 식당 등에 배부한다. 안내도에는 현재 나눔가게에 참여 중인 업체와 삼성동지사협 특화사업, 나눔가게 참여 방법 등을 수록했다.
물금읍이장단협의회(회장 박시흠)는 10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학원, 교습소, 체육시설 등 33곳에 대한 방역소독 봉사를 펼쳤다.
천손짜장(대표 박창만)과 타이어백화점(대표 이진권), 양산CPS(대표 전형진)는 10일 웅상종합사회복지관에 건강사과를 전달했다.
양산시청 탁구직장운동경기부는 17일 양산시청 시장집무실을 방문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성금 100만원을 기탁했다.
진수산업(주)(대표 박영식)는 17일 양산시청 시장집무실을 방문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성금 500만원을 기탁했다.
양산중앙교회(담임목사 정지훈)는 지난 12일 부활절을 맞아 모금한 성금으로 210만원 상당 온누리상품권을 구입해 코로나19로 더욱 어려워진 이웃들에게 전달해 달라며 중앙동행정복지센터에 기탁했다.
가까운대학약국(대표약사 양경인)은 지난 16일 나사함발달장애인복지관(관장 김유라)에 마스크 500장과 손소독제 등을 후원했다.
이번 행사는 상북면행정복지센터에서 회원 2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했다. 회원들은 지역 농산물을 이용해 열무김치 5kg 150상자와 된장 150통을 직접 담갔다. 열무김치와 된장은 지역 내 코로나19로 어려운 이웃과 사할린 동포에게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조리예술학부는 지난 9일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 자립심 향상을 위한 ‘2020 요리교실 오늘은 내가 요리사’ 동영상 촬영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장애인복지관이 휴관함에 따라 요리교실에 참여하지 못하는 장애인을 위해 요리교실 수업을 촬영한 것.
이날 새빛교회는 오는 8월 예정했던 전교인 수련회를 취소하고, 해당 사업비를 교인 200명에게 1인당 10만원씩 위로금을 전달하고, 미자립 교회 2곳에 각각 월세 100만원을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