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남도와 양산시가 25일 양산비즈니스센터에서 ‘K-바이오 랩허브’ 유치를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모든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앞서 경남도는 전방위적 유치활동을 펼치기 위해 7일 ‘경남도 K-바이오 랩허브 유치위원회’를 구성했으며, 대학ㆍ병원ㆍ연구기관ㆍVCㆍ바이오기업 등 66개 기관이 참여하기로 해 성공적인 랩허브 운영을 위한 네트워크를 갖췄다.
이날 토론회에는 유치위원장인 김경수 도지사를 비롯해 윤영석 국회의원, 김일권 양산시장, 차정인 부산대학교 총장, 김건일 양산부산대학교병원장, 홍성화 삼성창원병원장,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 등 유치위원 24명과 경상대병원 등 도내 상급병원, 종근당과 바이오액츠, 한국의료데이터협회 등 대형 제약기업과 관련 협회 관계자가 참석해 랩허브 양산(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첨단산학단지) 유치에 뜻을 모았다.
K-바이오 랩허브는 체계적인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성공 운영의 필수 요건으로 꼽히는데, 경남도는 총 66개 기관(대학 6곳, 연구ㆍ지원기관 4곳, 금융기관 2곳, 투자기관 10곳, 바이오기업 등 34곳)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체계적인 바이오 스타트업 육성체계를 마련했다.
특히, 대웅제약, 종근당, 길리어드 사이언스코리아 등 대형 글로벌 제약사와 NHN, 한국의료데이터협회, 의약품운송플랫폼기업(한진 등)도 참여하기로 해 성공적인 바이오 스타트업 성장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경남도와 부산시는 K-바이오 랩허브 유치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해 유치 경쟁력을 높이고, 부ㆍ울ㆍ경지역 병원ㆍ대학ㆍ제약기업이 함께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랩허브 운영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
토론회에 발표자로 참석한 김종성 보스턴대학교 교수는 “성공적인 랩허브 운영을 위해서는 스타트업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밀착 지원을 해야 한다”며 “경남도 계획은 이러한 운영방안에 부합하며, 양산은 병원의 실증기반과 연계될 수 있는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바이오의약품 육성전략을 발표한 김경순 인제대 교수는 “세계적인 감염병 발생과 고령화 가속화 등으로 바이오의약품산업이 급격한 성장추세에 있다”며 “경남이 그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펀드 출자, R&D 지원 등 바이오 창업생태계 조성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수 도지사는 “경남도는 2004년부터 바이오산업을 미래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K-바이오 랩허브 유치는 경남이 바이오 선도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초석이 될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양산은 국내 최대 교육ㆍ의료클러스터를 보유하고, 부ㆍ울ㆍ경 메가시티와 글로벌 네트워크 중심지에 위치해 K-바이오 랩허브 최적지”라며 “경남도는 K-바이오 랩허브 유치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유치위원과 협력기관에서도 힘을 보태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일권 양산시장은 “양산은 동남권 중심에 있고, 사업부지인 첨단산학단지와 연접해 종합의료클러스터가 구축돼 있고 배후공간으로 의료특화단지인 가산일반산단도 위치해 단연코 K-바이오 랩허브의 최적지”라며 “경남도를 중심으로 민ㆍ관이 힘을 합쳐 양산에 K-바이오 랩허브가 유치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